🚀 from error to study/Server
[Windows] windows에서 로그 파일 실시간 확인하는 법
🔥 포스팅 계기 리눅스에서는 쉬운 tail -f 를 윈도우에서도 쓸 수 있다! 📍 Windows PowerShell 실행👉🏻 뭔가 귀엽게 생긴 놈임... 👉🏻 작업표시줄에는 이렇게 뜬다! 언젠가 본 것 같은 전문적인 녀석 📍 로그 파일 실시간 확인하는 법Get-Content "경로" -Wait -Tail line수// ex) Get-Content "C:\03.devUtil\nginx\logs\error.log" -Wait -Tail 10
[Linux] 방화벽(firewall) 확인 및 실행/종료(firewalld)
🔥 포스팅 계기 방화벽 상태를 확인하고 실행/종료해 보는 좋은 경험을 해서 잊어버리기 전에 기록 📍 방화벽(firewall)👉🏻 외부에서 시스템으로 접근하는 패킷을 차단하는 서비스👉🏻 폐쇄망으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지정된 규칙에 의해 패킷의 송/수신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필터링이 가능해짐 📍 방화벽 관리 도구👉🏻 CentOS 6.x 버전까지는 Netfilter의 관리 인터페이스가 iptables로 사용됨 👉🏻 CentOS 7.x 버전부터는 Netfilter의 관리 인터페이스가 firewalld 로 변경 iptablesfirewalld설정의 변경- 설정 변경 시 적용을 위해 서비스를 재시작해야하며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순간적으로 끊김 - 설정 변경 시 기존 규칙을 모두 버리고..
[Linux] 서버 시간 동기화
🔥 포스팅 계기 서버 시간이 이상하게 나온다는 말에 서버 시간 동기화하는 법을 구글링했다 생각보다 쉬워서 일단 정리해 놓음 📍 서버 시간 확인 (로그 확인이라 쓰고 오류 확인이라 읽음)👉🏻 정상 서버의 로그👉🏻 비정상 서버의 로그👉🏻 (참고) 한국 표준시간보다 9시간 느린 상태라면 그건 동기화가 됐음에도 UTC로 설정된 경우일 수 있음👉🏻 나는 그 경우는 아니었기 때문에 동기화까지 진행 📍 동기화 상태 확인👉🏻 우선 NTP(Network Time Protocol)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게 우선임 👉🏻 리눅스 배포판에는 systemd-timesyncd 기본 제공된다고 함$ timedatectl status👉🏻 비정상 서버는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음 ..
[Linux] grep 시 윗줄, 아래줄 내용 같이 출력하기
🔥 포스팅 계기 linux에서 grep을 사용하여 로그를 검색하다 보면 검색 특정 문자열과 함께 바로 윗줄, 아래줄을 같이 보고 싶을 때가 있다. grep의 옵션 중 A, B 옵션으로 해결 가능하다. A는 아래, B는 위의 내용을 검색한다. 📍 test.log파일 중 test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row 포함 아래 5줄을 같이 출력$ grep -A 5 "test" test.log 📍 test.log 파일 중 test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row 포함 위 5줄을 같이 출력$ grep -B 5 "test" test.log 📍 test.log 파일 중 test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row 포함 위, 아래 5줄을 같이 출력$grep -A 5 -B 5 "test" test.log 📍 /c..
리눅스 별칭(alias) 등록/삭제
🔥 포스팅 계기 로그를 보기 위해 alias를 쳤는데 등록되어 있지 않음매번 경로를 따라가서 보기 귀찮을 때 아주 유용한 별칭! 📍 현재 등록된 별칭 보기$ alias👉🏻 리눅스 접속 후 alias 라고 치면 현재 등록된 별칭을 볼 수 있음👉🏻 보통 로그나 vi=vim으로 설정해 두는 경우가 많음 📍 별칭(alias) 등록하기# alias 명령어별칭 = '명령어'의 순서로 진행$ alias log='tail -f /var/etc/info/logs/catalina.out'👉🏻 이렇게 등록하면 log만 쳐도 catalina.out을 볼 수 있게 됨👉🏻 단, 명령어 별칭에 띄어쓰기가 들어가면 오류 나므로 주의할 것! 📍 별칭(alias) 해제하기# unalias 명령어별칭$ ..
[Tomcat] 서비스 중지 및 netstat에도 포트 확인되지 않는데 포트를 사용할 수 없다고 뜰 때
톰캣을 켜는데 포트를 사용 중이라는 에러 메시지가 떴다. 익숙하지 ㅋ 하면서 cmd의 netstat를 확인했는데 사용 중인 port/pid 발견되지 않았다. 눈물을 머금고 이 방법, 저 방법 찾다가 며칠 동안 포트를 바꾼 채로 그냥 사용했는데 우연찮게 방법을 찾아서 정리할 겸 쓰는 포스팅 1. 포트 사용 중 에러 발생 2. [ Win + R ] msconfig 실행 후 Tomcat 관련이 있는지 1차 확인 ▶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를 체크 후 진행하면 더욱 찾기 편함 3. [ Win + R ] services.msc 실행 후 Tomcat 관련이 있는지 2차 확인 ▶ 나의 경우 여기서 Apache Tomcat 7.0 Tomcat7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를 찾을 수 있었음! 아마...
[Tomcat] 캐시 최대 크기 증가
org.apache.catalina.webresources.Cache.getResource []에 위치한 리소스를 웹 애플리케이션 []을(를) 위한 캐시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. 왜냐하면 만료된 캐시 엔트리들을 없애버린 이후에도 여유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캐시의 최대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해 보십시오. 가끔 톰캣 실행 시 빨간 줄이 엄~청 뜨면서 만료된 캐시 엔트리를 제거해도 여유 공간이 없으니 캐시를 늘리라는 메시지가 뜰 때가 있다. 사실 무시해도 서비스를 올리는 데 아무 지장이 없긴 하지만... context.xml에 한 줄만 추가해 주면 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! 톰캣 설치 경로 > conf > context.xml의 태그 내에 아래 내용을 추가
[telnet] telnet 활성화 하는 법
🔥 포스팅 계기 내 컴퓨터에서 해당 도메인에 접속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명령 프롬프트(cmd)에서 telnet을 사용하면 됨 근데 이게 기본 설정으로는 비활성화 되어 있어서 처음 1번에 한해 활성화시켜 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작업 자체가 어렵거나 까다롭지는 않지만 자주 쓸 일이 없으므로 나중에 새로운 pc로 진행할 때를 대비하여 미리 정리해 놓음 📍 준비물 👉🏻 Windows의 cmd(명령 프롬프트)에 접속해서 telnet을 검색했을 때 아래와 같이 뜨는 것 'telnet'은(는) 내부 또는 외부 명령,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,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. 📍 텔넷(telnet) 활성화시키는 방법 👉🏻 1) 제어판 - 프로그램 접속 👉🏻 프로그램 및 기능 접속 👉🏻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접..
[리눅스] SSH(Secure Shell): 시큐어 셸과 동작 원리
🔥 포스팅 계기 셸, 커널을 공부하고 SSH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던 중 보안성이 강화된 셸로만 이해하던 SSH가 하나의 프로토콜이라는 것을 알게 됨 공개키, 비공개키와 같은 기초 보안 지식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 따로 포스팅 하기로 함 📍 SSH(Secure Shell): 시큐어 셸 👉🏻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 복사 등을 가능케 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 👉🏻 기존의 rsh, rlogin, Telnet(텔넷)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됨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므로 통신이 노출된다고 해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임 (기존 텔넷은 통신 시 패킷을 가로채서 열어 보면 패스워드와 같은 모든 정보가 평문으로 보이기 때문에 보안성이..
[리눅스] 셸(Shell)과 커널(Kernel)
🔥 포스팅 계기 깃에 올린 remote repository를 이클립스로 가지고 올 때 SSH/HTTP 방식으로 각각 url를 복사함 superPuTTY를 이용해 원격으로 서버 접속 시에도 SSH를 사용함 보안과 관련된 내용인 건 알겠는데 정확히 SSH가 뭔지 알고 싶었음 또한, SSH의 풀 네임이 Secure Shell(시큐어 셸)인 만큼 셸, 커널이라는 대표적인 리눅스 용어에 대해서도 이번 기회를 통해 공부하고자 포스팅 하게 됨 라고 기재하였으나 셸, 커널의 공부 내용이 길어졌고 내용상 시큐어 셸과는 따로 포스팅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서 포스팅을 나눔 시큐어 셸에 대한 포스팅은 위의 링크 클릭! 📍 컴퓨터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? 👉🏻 하드웨어 / 소프트웨어 커널 계층 / 소프트웨어 유저 계층인 3..